부가티 타입 3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가티 타입 35는 1924년부터 1930년까지 생산된 부가티의 레이싱 모델이다. 2.0리터 직렬 8기통 엔진을 탑재하고, 알루미늄 휠을 세계 최초로 적용하여 냉각 성능과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했다. 타입 35는 A, C, T, B, 37, 37A, 39 등 다양한 파생 모델을 포함하며, 1920년대 주요 그랑프리 레이스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가티 - 부가티 베이론
부가티 베이론은 폭스바겐 AG가 부가티 상표권을 획득한 후 개발하여 2005년에 출시된 고성능 스포츠카로, W16 엔진을 탑재하여 최고 속도 400km/h 이상을 기록하며 2015년에 단종되었다. - 부가티 - 부가티 EB 110
부가티 EB 110은 1991년 부가티가 에토레 부가티 탄생 110주년을 기념하여 발표한 60밸브 쿼드 터보차저 V12 엔진과 4륜 구동 시스템을 갖춘 슈퍼카로, GT와 슈퍼 스포츠 모델로 출시되었으나 부가티 파산으로 브랜드 유일 차종이 되었다. - 자동차 차종 - 스마트 포투
스마트 포투는 다임러와 스와치 그룹이 개발한 초소형 자동차로, 후륜구동 방식과 트리디온 안전 셀을 특징으로 하며, 가솔린 엔진 기반 소형차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전기차로 판매되고 있다. - 자동차 차종 - 포르쉐 파나메라
포르쉐 파나메라는 멕시코 카레라 파나메리카나 레이스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진 포르쉐의 4도어 고성능 스포츠 세단으로, 넓은 실내 공간과 고급 편의 시설을 제공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사륜구동 시스템, 그리고 여러 특별판 모델을 통해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켜 왔고, 2024년에는 3세대 모델이 출시되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강화하고 새로운 엔진과 편의 장비를 탑재했다.
부가티 타입 35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Automobiles Ettore Bugatti |
생산 기간 | 1924년–1930년 |
설계자 | 에토레 부가티 |
차체 스타일 | 언더슬렁 타입 |
레이아웃 | FR |
차대 | 강철 래더 프레임, 알루미늄 차체 |
차종 | 그랑프리, 포뮬러 리브레 |
조립 장소 | 프랑스: 몰셰임-도를리스하임, 알자스 (Usine Bugatti de Molsheim) |
이전 모델 | 부가티 타입 30 |
다음 모델 | 부가티 타입 51 |
엔진 | |
종류 | 3밸브 SOHC 직렬 8기통 |
변속기 | |
종류 | 4단 수동 + 후진 |
치수 |
2. 타입 35 (1924-1930)
부가티 타입 35는 1924년 8월 3일,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그랑프리에서 처음 공개되었다.[3] 타입 29의 1991cc SOHC 직렬 8기통 엔진을 개선하여, 5개의 볼 베어링을 사용해 최대 6,000rpm, 90마력(67kW)을 발휘했다. 앞뒤 고정 축과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케이블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를 채택했다. 세계 최초의 알루미늄 휠은 브레이크 드럼과 일체형으로 주조되어 냉각 성능, 스프링 하중 감소, 정비성을 높였다. 앞 차축을 통과하는 스프링 구조는 U-볼트를 사용하지 않는 부가티만의 방식이었다. 초기에는 던롭 타이어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나,[3] 이후 개선되었다.
타입 35는 총 96대가 생산되었고, 보어를 52mm로 축소한 1494cc 모델이나 직렬 8기통 1100cc 모델도 극소수 제작되었다. 일본 카 그래픽 TV의 타이틀 백에 사용되었다.
1925년 5월에는 저가형 모델인 타입 35A("테클라")가 발표되어 139대가 판매되었다. 테클라 엔진은 3개의 평면 베어링, 소형 밸브, 타입 30의 코일 점화 방식을 사용했다.
1926년 타르가 플로리오 경주용 특별 모델 타입 35T("타르가 플로리오")가 공개되었으나, 그랑프리 규정 변경(최대 2L)으로 13대만 생산되었다.
에토레 부가티는 과급기를 싫어했지만, 1926년 타입 35C에는 루츠형 슈퍼차저를 장착, 약 128hp를 발휘하여 1928년과 1930년 프랑스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에서 우승했다.
1927년 마지막 버전 타입 35B(타입 35TC)는 타입 35T의 2.3L 엔진과 타입 35C의 대형 슈퍼차저를 결합, 138hp로 1929년 프랑스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에서 우승했다.
2. 1. 기술적 특징
타입 35는 타입 29에 사용되었던 2.0리터(1991cc) 3밸브 SOHC 직렬 8기통 엔진을 개선하여 장착했다. 이 엔진은 5개의 베어링을 사용했으며, 최대 6000rpm까지 회전하여 90hp의 출력을 낼 수 있었다.[3] 보어와 스트로크는 이전 부가티 모델과 마찬가지로 60mm x 88mm였다.[6]세계 최초로 알루미늄 휠을 적용했는데, 이는 브레이크 드럼과 일체로 주조되어 냉각 성능을 높이고, 스프링 하중을 줄이며, 정비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앞 차축을 통과하는 스프링 구조는 이전 차량들과 달리 U-볼트를 사용하지 않아 부가티만의 독특한 디자인이 되었고, 이는 뛰어난 핸들링에 기여했다.
전륜과 후륜 모두 고정 축과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을 사용했고, 브레이크는 케이블로 작동하는 드럼 브레이크 방식이었다.
; 제원
- 전장: 3680mm
- 전폭: 1320mm
- 휠베이스: 2400mm
- 중량: 750kg
2. 2. 주요 제원
항목 | 값 |
---|---|
길이 | 3680mm |
폭 | 1320mm |
휠베이스 | 2400mm |
무게 | 750kg |
타입 35는 다양한 파생 모델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요 차이점은 엔진, 과급기, 섀시 등이었다.
3. 타입 35의 파생 모델
각 모델별 상세 정보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타입 35A (1925-1929)
1925년 5월에 출시된 타입 35A는 타입 35의 보급형 모델이었다. 사람들은 인조 보석 제조사 이름을 따서 "테클라"(Tecla)라는 별명으로 불렀다.[1] 테클라 엔진은 3개의 저널 베어링, 더 작아진 밸브, 타입 30에서 사용되었던 코일 점화 방식을 사용했다.[1] 정비는 용이했지만, 출력은 감소했다.[3] 타입 35A는 총 139대가 생산되었다.[1]
3. 2. 타입 35C (1926-1930)
에토레 부가티는 과급기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타입 35C에는 루츠형 슈퍼차저가 장착되었다. 출력은 약 128마력이었고, 1928년와 1930년 프랑스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에서 우승했다.
타입 35C는 1926년에 출시되었으며, 에토레 부가티가 과급에 대한 혐오감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루츠 과급기를 장착했다. 출력은 단일 제니스 기화기를 사용하여 약 128마력(95kW)에 달했다. 타입 35C는 1926년 밀라노 그랑프리의 첫 번째 레이스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했는데, 이 경기는 몬차 서킷에서 개최되었다. 이 2.0리터 과급 방식은 매우 신뢰성이 높았다.
1929년, 부가티는 타입 35C에 대해 91500FRF를 청구했다. 프랑스 파일럿 기 보리아(Guy Bouriat)는 1929년 3월에 두 대를 구입했다.
총 50대가 생산되었다.
3. 3. 타입 35T (1926)
1926년 부가티는 타르가 플로리오 경주를 위해 특별한 모델을 공개했다. 공식적으로 타입 35T이지만, 공개 후 곧바로 '''타르가 플로리오'''라고 불렸다. 엔진 배기량은 2.3L였지만, 그랑프리 대회 규칙이 바뀌어 최대 엔진 배기량이 2L로 제한되면서 단 13대만 생산되었다.[1] 엔진은 스트로크를 100mm로 늘려 2262cc로 확대되었다.[2]
3. 4. 타입 35B (1927-1930)
타입 35 시리즈 중 마지막 버전은 1927년에 발표된 타입 35B이다. 원래 이름은 타입 35TC였으나, 일반적으로 "T35B"로 알려졌다. 타입 35T의 2.3리터 엔진에 타입 35C와 동일한 대형 슈퍼차저를 장착하여 138bhp의 출력을 냈다. 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가 운전한 브리티시 레이싱 그린 색상의 타입 35B는 초대 1929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우승했고, 같은 해 프랑스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에서도 우승했다.
타입 35B는 더 많은 토크를 냈지만 회전수가 높지 않았고, 엔진 연료 소비량이 많아 공장에서는 다시 T35C를 생산하게 되었다. 총 45대가 생산되었다.
3. 5. 타입 37 (1926-1930)
타입 37은 타입 35와 동일한 섀시와 차체를 사용한 스포츠카 모델이다. 대부분 와이어 휠이 장착되었으며, SOHC 3밸브 디자인의 새로운 1496cc 직렬 4기통 엔진(69mm x 100mm)을 탑재하여 60bhp의 출력을 냈다. 이 엔진은 많은 개인 드라이버들이 유지 관리하기가 더 쉬웠으며, 타입 40에도 사용되었다.
총 290대가 생산되었다.
3. 6. 타입 37A (1928-1930)
과급기를 장착한 타입 37A는 엔진 출력을 80hp에서 90hp까지 끌어올렸다. 또한 더 큰 브레이크 드럼을 장착했다.
약 67대의 타입 37A가 생산되었다.
3. 7. 타입 39 (1926-1927)
타입 39는 엔진 크랭크축을 제외하고는 타입 35와 유사했으며, 1.5리터(1,493cc)의 더 작은 배기량을 낼 수 있도록 개조되었다. 스트로크는 88mm에서 66mm로 줄었고, 크랭크에는 플레인 베어링과 롤러 베어링이 혼합되어 사용되었다.[1]
10대가 생산되었으며(일부는 슈퍼차저가 장착된 타입 39A) 엔진 보어를 51.3mm로 줄여 1.1리터(1,092cc) 버전도 제작되었다.[1] 당초에는 타입 35C의 한 버전으로 계획되었다.[1]
4. 주요 경기 성적
부가티 타입 35와 그 파생 모델들은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다양한 그랑프리 경주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연도 | 경주 | 드라이버 | 차량 |
---|---|---|---|
1926 | 아체르보 컵 | 루이지 스피노치 | 타입 35 |
에트나 컵 | 아이모 마기 | 타입 35 A | |
이탈리아 그랑프리 | 루이 샤라벨 | 타입 39 A | |
로마 그랑프리 | 아이모 마기 | 타입 35 | |
트리폴리 그랑프리 | 프랑수아 아이제르만 | 타입 35 | |
1927 | 트리폴리 그랑프리 | 에밀리오 마테라시 | 타입 35 C |
로마 그랑프리 | 타치오 누볼라리 | 타입 35 | |
솔리튜데르넨 | 아우구스트 욤버거 | 타입 35 B | |
마른 그랑프리 | 필리프 에탕슬랭 | 타입 35 B | |
1931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카를 융커 | 타입 39 |
프롱티에르 그랑프리 | 아서 레가트 | 타입 37 A | |
1932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빌 톰슨 | 타입 37 A |
1933 | 프롱티에르 그랑프리 | 윌리 롱그빌 | 타입 35 B |
4. 1. 1925년
경주 | 드라이버 | 차량 |
---|---|---|
로마 그랑프리 | 카를로 마세티 | 타입 35 |
타르가 플로리오 | 바르톨로메오 코스탄티니 | 타입 35 |
가르다 서킷 | 아이모 마기 | 타입 35 |
4. 2. 1926년
1926년, 부가티는 타르가 플로리오 경주를 위해 특별한 모델을 공개했다. 공식적으로 타입 35T이지만, 공개 후 곧바로 '''타르가 플로리오''' 모델이라 불렸다. 배기량은 2.3리터였지만, 그랑프리 대회 규칙이 바뀌어 최대 엔진 배기량이 2.0리터로 제한되면서 단 13대만 생산되었다.
4. 3. 1927년
에밀리오 마테라시는 타르가 플로리오에서 부가티 타입 35C로 우승했다.[1]4. 4. 1928년
경주 | 드라이버 | 차량 |
---|---|---|
프랑스 그랑프리 | 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 | 타입 35C |
이탈리아 그랑프리 | 루이 시롱 | 타입 37A |
산 세바스티안 그랑프리 | 루이 시롱 | 타입 35C |
스페인 그랑프리 | 루이 시롱 | 타입 35C |
타르가 플로리오 | 알베르 디보 | 타입 35B |
트리폴리 그랑프리 | 타치오 누볼라리 | 타입 35C |
모로코 그랑프리 | 에드워드 메이어 | 타입 35C |
4. 5. 1929년
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는 타입 35B로 프랑스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와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1] 알베르 디보는 타입 35C로 타르가 플로리오에서 우승했다.[1]
연도 | 경주 | 드라이버 | 차량 |
---|---|---|---|
1929 | 프랑스 그랑프리 | 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 | 타입 35 B |
독일 그랑프리 | 루이 시롱 | 타입 35 C | |
스페인 그랑프리 | 루이 시롱 | ||
모나코 그랑프리 | 윌리엄 그로버-윌리엄스 | 타입 35 B | |
타르가 플로리오 | 알베르 디보 | 타입 35 C |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아서 터디치 | 타입 37 A | |
알제리 그랑프리 | 마르셀 르후 | 타입 35 C |
4. 6. 1930년
경주 | 드라이버 | 차량 |
---|---|---|
벨기에 그랑프리 | 루이 시롱 | 타입 35 C |
체코슬로바키아 그랑프리 | 하인리히-요아힘 폰 모르겐, 헤르만 추 라이닝겐 | 타입 35 B |
아이펠렌넨 | 하인리히-요아힘 폰 모르겐 | 타입 35 B |
프랑스 그랑프리 | 필리프 에탕슬랭 | 타입 35 C |
모나코 그랑프리 | 르네 드레이푸스 | 타입 35 B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빌 톰슨 | 타입 37 A |
5. 타입 35와 대한민국
부가티 타입 35는 대한민국에서도 클래식 카 애호가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일본의 자동차 전문 프로그램인 카 그래픽 TV의 타이틀 백에 사용되어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다.[4] 부가티 타입 35는 자동차 역사에 큰 획을 그은 모델로, 그 가치와 의미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간행물
Bugatti design – a legend about eggs and horseshoes
https://www.bugatti.[...]
Bugatti
2019-04-18
[2]
서적
Grand Prix Bugatti
Haynes Publishing Group
1983
[3]
서적
Grand Prix Bugatti
1983
[4]
웹사이트
Ettore Bugatti made alloy wheels a thing
https://www.hagerty.[...]
2019-10-08
[5]
웹사이트
The legendary Bugatti Type 35
https://www.bugatti.[...]
Bugatti
2021-10-25
[6]
웹사이트
Bugatti Type 35 specs, performance data
https://fastestlaps.[...]
2021-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